top of page

​두바이&아부다비에 대하여.....

ABOUT DUBAI

  • 1580년 베네치아 상인 가스페오 발비가 두바이를 방문하면서 진주 산업이 알려짐

  • 1833년 알막툼 부족이 아부 팔라사 부족을 몰아내고 아부다비와 합의

  • 1892년 두바이가 영국과 '해상무역조약' 체결

  • 진주 잡이와 대추 야자 열매로 경제활동

  • 1930년대 대공황과 양식 진주 출현으로 경제적 어려움 겪음

  • 1947년 두바이와 아부다비 간 영토분쟁 발생

  • 1950년 영국의 지역관리 사무국이 두바이로 옮겨오면서 전기 공급

  • 1966년 적은 양이지만 석유 발견(1975년까지 인구 300% 이상 증가)

  • 1971년 12월 2일 UAE 건국(7개 토후국 연합)

  • 1979년 제벨 알리 항구 개항, 1985년 제벨알리자유구역 설립

  • 1990년 걸프 전쟁 당시 투자자들의 자금 회수에도 정치적 안정으로 긍정적 반응

  •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연합국의 급유지로 이용, 유가 상승

  • 이후 두바이는 자유무역과 관광에 주력하게 됨

image.png
Night View

두바이(Dubai)는 아라비아 반도에 위치한 아랍에미리트의 7개 토호국중 하나이다. 두바이는 아랍에미레이트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두바이의 공식 언어는 아랍어이지만, 영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Buildings

두바이는 주요 무역, 금융, 관광 중심지이다. 두바이 국제공항은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공항 중 하나이다. 또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인 부르즈 칼리파가 있는 곳이기도 하다.
image.png
두바이.png
두바이는 현대적인 도시이지만,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두바이는 18세기에 아부다비의 통치자였던 셰이크 마크툼 빈 부티아에 의해 설립되었다. 두바이는 오랫동안 무역과 어업의 중심지였으며, 19세기에 진주 무역의 주요 중심지가 되었다. 두바이는 20세기 초에 석유와 천연가스 매장량을 발견하면서 개발되기 시작했다. 두바이는 석유와 천연가스 수출로 큰 부자가 되었으며, 도시는 빠르게 발전했다.

ABOUT Abu Dhabi

  • 1793년 알 호슨 궁전이 세워짐. 원래 식수원 방어를 위한 감시탑이었으나 셰이크 샤크부트가 성채로 확장하고 궁전으로 삼음

  • 1930년대 오일 머니로 크게 확장되었고, 1966년까지 정부 청사로 사용되다가 현재 부분적으로 일반에 공개됨

  • 아부다비는 옛부터 진주 생산지로 유명했으며, 18세기까지 내륙 아랍인들이 진주 채취를 위해 찾아오던 섬이었음

  • 1793년 섬에서 샘물이 발견되면서 알 부 팔라흐 부족이 리와 오아시스에서 아부다비로 천도

  • 이 부족 내의 한 가문이 후에 아랍에미리트를 주도하게 되는 알나얀 왕가

  • 19세기 영국과 보호 조약을 맺고 조용히 살아가다가, 20세기 들어 진주 가격 하락으로 위기를 맞았으나 1930년대 석유 발견으로 발전하게 됨

image.png
Night View

아부다비(Abu Dhabi)는 아랍에미리트의 토후국이자 수도이다. 아랍에미리트의 토후국 가운데 가장 영토가 넓어 전 국토의 85%가 아부다비의 영역이다.
Buildings

또 인구가 많으며, 거의 유일한 산유국이다. 두 번째로 넓은 도시가 두바이인데, 아부다비의 오일머니는 두바이 등의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image.png
아부다비.png
아부다비는 아랍에미리트의 토후국 중 영토가 가장 넓으면서도 수도 아부다비는 작은 섬 위에 세워져 있다. 육지와는 세개의 다리로 연결되어 있으며 최근엔 인접한 육지에 신시가지가 대규모로 조성되어 확장되고 있다.
  • 회사명 : (주)유에이이소닉코리아

  • 대표자 : David LIM

  • 주소 :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68 (우림라이온스밸리) B동 812-2호

  • 이메일 : sonicdubai@naver.com

  • 전화 : 02-2276-1326

  • 팩스 : 02-2276-1327

  • 사업자등록번호 : 795-86-02681

COPYRIGHT (c) (주)유에이이소닉코리아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